김시광의 공포영화관 _ 공감백배

김시광의 공포영화관 (2009)

 

글쓴이 : 김시광

출판사 : 장서가

 

 

딱 한 사람 있었다.

지금껏 직접 만난 사람 가운데 공포영화를 좋아한다고 떳떳하게 말했던 사람은.

여름철이면 누구나 공포영화를 보곤 하지만 그것을 좋아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정말 흔치 않다. 나 역시 공포영화를 좋아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를 나눌 대상은 거의 없었다.

 

공포영화는 다른 장르에 비해서 꽤 외로운 장르처럼 보인다.

관객은 조용히 혼자서만 즐기기 쉬운, 혹은 즐겨야만 하는 상황이며, 단순 흥미를 위한 것이 아닌 작가주의의 일환으로 작품을 만들던 감독 또한 좀 더 많은 관객들과 의사를 공유하고픈 기대를 접어야 할 수도 있을 것이다. 워낙 자극적인 비주얼을 특성으로 삼고 있는 것과 다른 장르의 감독들에 비해 관심 자체가 적은 이유 때문일 것이다. (흥행과 무관하게 관객과 감독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더 원활하지 못하다는 현실은 안타깝다.)

 

그런 특성은 공포영화를 대상으로한 다른 매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. 특히 공포영화를 소재로 출판한 책은 국내에선 매우 희귀하다. 몇 몇 영화평론집에서나마 유명한 공포영화가 곁다리로 살짝 다뤄졌을 뿐이다. 그리고 영화전문잡지에서 여름철 반짝 등장하는 기획기사 정도가 팬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전부였다랄까. 그런 의미에서 '김시광의 공포영화관'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. 책의 퀄리티를 떠나서 공포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새로운 소통의 출구임과 동시에(온라인과는 다른) 막혔던 체증을 내려보낼 카타르시스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.

 

읽어가면서 느끼는 감정은 통쾌함이랄까.

공감가는 이야기도 많았고, 내공있는 동류에게서 느끼는 선망도 있었다. 초점은 글쓴이가 말하는 영화에 대한 것이 아닌  듣고싶어하는 이야기를 말한다는 사실 그 자체에 있었다.

글쓴이도 오랜시간 외로운 취향을 지속하는 것에 대해서 지적한 바 있지만 소수의 사람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. 사설이 너무 길었나.

 

 

전문적으로 글쓰는 이가 아닌 이상 좋은 문장으로 전문성을 드러내는 글은 아니다.

하지만 이론적인 접근이 아닌 오랜시간동안 차근차근 쌓아온 내공으로 쓰여진 글이다보니 오히려 읽기 쉽고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채우고 있다. 일반인(공포영화 팬이 아닌)의 관점으로 봐도 이해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정도이다. 충실한(개인적인 기준으로) 내용과 더불어 책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도 이뻐(?)보일 수 있다. 본문에 삽입된 이미지 뿐만 아니라 책을 편집하고 인쇄의 질에 있어서도 나름 신경 쓴 것이 보이니 그 가치는 대폭 상승한다.

 

사실 영화에 대한 이해는 다른 장르의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. 잔인한 장면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뿐이지 내부에 담긴 드라마나 긴장감은 타 장르의 영화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. 물론 그 차이라는 것이 결정적인 것이긴 하지만. 하지만 그런 고어 이미지에 대해서도 익숙해질 수 있는 것이라고......생각하는 것은 역시 개인적인 생각일 뿐인가보다. 글쓴이가 남긴 아내에 대한 글을 보면 극복이 안되는 것은 역시 안되는 것인가보다. 그래도 그 글 가운데 보이는 애틋한 배려는 부럽기도.

 

취향에 대한 강요는 무리한 것이지만, 배려는 부득이한 것일지도 모르겠다.

추가적으로 글쓴이가 보여주는 공포영화 리스트는 정답은 아닐지 모르지만 좋은 가이드가 될 성 싶다.

 

★★★★

 

+ 본문의 이미지는 인용의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.

+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출판사에서 소유하고 있겠지요.